■특집 - 이성호(1873~1929)선생 문집 금화유고(金華遺稿) 발굴
■특집 - 이성호(1873~1929)선생 문집 금화유고(金華遺稿) 발굴
  • 장흥투데이
  • 승인 2023.07.05 15: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화 이성호, 금곡출신, 평생 학문에 진력하고 선비들과 교류하다

“상하권 1929년경, 필사본의 최종 수정본”-1권에 시(詩) 106 수

장흥 등 자연경관, 풍물, 세시절기, 생활사 공간, 문화유산 읊어

“근대기 장흥지역의 인문학적인 배경 연구에 소중한 자료”

금화 이성호, 금곡출신, 평생 학문에 진력하고 선비들과 교류하다

“상하권 1929년경, 필사본의 최종 수정본”-1권에 시(詩) 106 수

장흥 등 자연경관, 풍물, 세시절기, 생활사 공간, 문화유산 읊어
금화 이성호, 금곡출신, 평생 학문에 진력하고 선비들과 교류하다

“상하권 1929년경, 필사본의 최종 수정본”-1권에 시(詩) 106 수

장흥 등 자연경관, 풍물, 세시절기, 생활사 공간, 문화유산 읊어

“근대기 장흥지역의 인문학적인 배경 연구에 소중한 자료”

김희태(전 전라남도 문화재전문위원)
▲여곡재 현판
금곡리에 있는 여곡재- 후학을 강학하는 서재로 쓰였다.
김희태(전 전란남도 문화재전문위원)

 

 

 

 

 

 

 

 

이성호 선생 묘소 전경
이성호 선생 묘비

 

금화유고 상권 내표지
금화유고 상권 첫면(금화원운)

 

 

 

 

 

 

 

 

 

 

 

금화유고 상권 여곡재 팔경
금화유고 하권 첫면(上松沙先生書 - 송사선생께 올린 서간)
금화유고 하권 - 억불산유산기

 

 

 

 

 

 

 

 

 

 

 

금화유고 하권 - 억불산유산기

 

 

 

 

 

 

 

 

 

 

 

◆…장흥 용산면 금곡마을 출신 근대기 학자 금화 이성호(金華 李誠浩, 1873~1929) 선생의 문집인 금화유고(金華遺稿)가 새로 확인되었다.

장흥 용산면 금곡마을 출신 근대기 학자 금화 이성호(金華 李誠浩, 1873~1929) 선생의 문집인 금화유고(金華遺稿)가 새로 확인되었다. 금화유고는 이성호의 종손인 이영채님(인천이씨 37세)이 직장을 따라 충청도쪽[제천]으로 이거하며 소장하고 있었는데, 종원간 협의를 통하여 문림의향의 중요한 자산으로 활용한다는 큰 뜻에 동참하고자 금곡으로 보내 와 공개하게 되었다. <편집자 주>

 

 

 

 

 

금화 이성호는 인천이씨로 공도공파(파조 이문화, 14세)이다. 인천이씨 장흥 입향조는 이귀수(貴秀, 19세)이고, 이귀수의 셋째 아들 이우(遇, 20세)가 남면파의 파조이고 금곡 입향조로 알려졌다. 이우의 넷째 아들 이경휘(敬暉, 1476~1540)의 계대를 이어 진사 동곡 이복연(東谷 李復淵, 1768~1835)의 둘째 아들 난포 이필운(蘭圃 李弼運, 1791~1858)이 이성호의 증조부이다. 조부는 남정 이중악(南亭 李重岳, 1829~1872)으로 노사 기정진 문하이다. 부친은 소곡 이휴석(小谷 李休錫, 1848~1904)이다.

이성호의 자는 윤명(允明), 호는 금화(金華)이며 장흥부 남면 금곡리(현 용산면 금곡리)에서 태어났다. 성품과 도량이 정직하고 지행이 맑으며 겸손한 고 마음이 높고 고상하였다. 송사 기우만과 교유하였고 당곡사(唐谷祠) 복설에 힘을 모았다. 평생을 학문에 심혈을 기울이면서 저술을 하고 인근 선비들과 교류를 하였다.

금화유고(金華遺稿)는 상‧하 2책의 필사본으로 서문이나 발문은 갖추지 않아 정확한 필사 연대를 알기는 어렵다. 그러나 내표지에 ‘기사 팔월 상한 수정(己巳八月上澣修正)’의 표기가 있어 기사년 8월 상순에 수정 정서를 했음을 알 수 있다. 이성호선생이 세상을 떠난 해가 기사년으로 1929년인데, 이 해에 문집 간행을 위해 정서를 한 최종 수정본으로 보인다.

내지에는 ‘장흥읍지 단자 문행편 : 이모의 호는 금화이고 인천인으로 동곡 연복의 현손이다. 지조가 높고 재주가 뛰어나며 고금의 문헌을 두루 섭렵하였고 … 유고가 있다.’(長興邑誌 單子/文行篇/李某字某號金華仁川人東谷復淵玄孫志高才敏歴覽今古皓首林樊世與寡諧 有遺稿)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장흥읍지 문행편에 올리기 위한 단자 내용인 것 같다. <장흥지(長興誌)>(무인지, 1938년)에 이 내용이 거의 유사하게 올라 있다.(李誠浩 : 仁川人 小谷休錫子 號金華 志高才敏今古皓首林樊世與寡諧 有稿). 기사년 수정 이후 추기로 보인다.

금화유고 2책, 106제의 시와

억불산유산기(億佛山遊山記) 등 다양한 향촌 기문

금화유고 상권은 시(詩)로 모두 106제의 시가 실려 있다. 첫 번째 시는 ‘금화원운(金華原韻)’이다. ‘금화리 높직한 곳 누워서 보니 바야흐로 처인함을 깨닫는다 어버이 모시고 자식 가르치는 외에 때로 혹 농인을 따라가 본다’[高臥金華里 方能覺處仁 養親敎子外 時或從農人]’는 내용이다. 향리 금곡에서 학문하면서 리인(里仁)과 처인(處仁)을 논하고 자손을 가르치면 농사일도 거드는 서정과 서경의 경관을 알 수 있다.

시제(詩題)를 보면 자연경물과 풍경으로 석죽(石竹), 동우(凍雨), 낙엽(落葉), 모연(暮烟), 별(星)이 보이고, 화훼류와 과실로는 국화(菊花), 배꽃(梨花), 차(茶), 귤(橘)이 대상이다. 그리고 동물이나 가금은 호랑이(虎), 개(拘), 용(龍), 소(牛), 말(馬), 대구(大口), 모조(暮鳥), 꿩(稚), 역봉(役蜂), 어화(漁火), 추안(秋雁) 등이다.

세시 절기나 농경 경관을 읊고 있는 천렵(川獵), 제석(除夕), 동지(冬至), 운초(耘草), 유두(流頭), 복일(伏日)이 보인다. 또 교통기구나 생활도구로 비행거(飛行車), 자전거(自轉車), 안경(眼鏡), 면경(面鏡), 망건(網巾), 등화(燈火), 봉화(烽火), 화로(火爐)가 보인다. 선비로서 문방사우 종이(紙), 붓(筆), 연적(硯), 먹(墨)이 형상화 대상으로 빠질 수 없다.

교류한 문사들의 인명으로 호계리 김대인(金大仁), 청계 주인 위계학(魏啓學), 남의 박중립(南㿄 朴重立), 김한희(金漢禧), 농재 고광일(聾齋 高光日), 계양 위혁기(桂陽 魏赫基), 임치호(林致鎬), 김경익(金敬益), 송관일(宋貫一), 백여간(白汝恳), 이두칠(李斗七), 최성구(崔成九), 위계반(魏啓泮), 김경문(金敬文), 이정원(李正遠), 이학수(李鶴洙), 김원지(金遠志), 만송 김한교(晩松 金漢敎), 수헌 안철현(壽軒 安喆鉉), 춘파 위관식(春坡 魏瓘植), 일헌 김태한(一軒 金台漢), 예동 김한민(汭東 金漢敏), 이완식(李完植)과 수창한 시나 차운시, 증여시, 만시가 있다.

선비들의 시회나 종중인이나 향촌인들과의 교류 모임을 알 수 있는 양사계(養士契), 여곡재 거접계(居接契), 풍영계(風詠契)의 시제도 보인다.

그리고 문화유산과 경관지 등은 도통사(道統祠), 산정(山亭), 오천재(烏川齋), 여곡재(餘谷齋)(팔경), 산천재(山泉齋)(팔경), 석천재(石川齋)(팔경), 양춘재(陽春齋), 낙영재(樂英齋), 사방재(射榜齋), 월미도공원, 경모각(敬慕閣), 덕양재(德陽齋), 삼희재(三希齋), 관수재(觀修齋), 동복 물염정(勿染亭), 사인정(舍人亭), 삼청정(三淸亭), 호고당(好古堂), 경호정(鏡湖亭), 관선재(觀善齋), 독우재(篤友齋), 용호정(龍湖亭), 창랑정(滄浪亭), 억불봉, 의령남씨팔충비(宜寧南氏八忠婢), 영화재(蓮花齋), 천관산, 금당도, 적벽, 인천항 등이다. 여곡재, 산천재, 석천재는 팔경시를 지었다.

금화유고 하권은 서간(10), 행장(1), 가장(2), 기문(13), 서문(4), 묘표(1), 비명(1), 축문(5), 축사(1), 장(狀, 4), 변(辨, 1), 전(傳, 1), 발(5), 제기(題記, 1)이다.

서간은 송사 기우만에게 보낸 서간 4장, 수사 정학순(水使鄭 學淳), 입부 기재(立夫 奇縡), 춘헌 위계반, 태경 이정원, 조우식(趙愚植), 김영환(金永煥)에게 보낸 서간문이 있다. 그리고 선무원종공신 이종인(李鍾仁) 행장, 조고(祖考) 남정공 이중악 가장(家狀), 선고(先考) 도사(都事) 소곡 이휴석 가장이 있다.

기문으로는 여곡재기, 어초헌기(漁樵軒記), 삼호재기(三乎齋記), 덕암기(德巖記), 여곡재중건기, 농암기(農庵記), 간송기(澗松記), 춘헌기(春軒記), 묵헌기(黙軒記), 산천재기, 억불산유산기(億佛山遊山記), 석와기(石窩記), 우수당화원기(又睡堂花園記)가 실려 있다.

서문으로는 풍영계서, 청계당서(淸溪堂序), 장흥위씨대동문안서(代作), 심암처사회혼연서(審庵處士回婚宴序), 갑봉회갑연서(甲峰回甲宴序)가 있다.

이어 묘표로 고조 성균진사 동곡공[이복연] 묘표, 비명으로 열부남평문씨비, 상량문으로 여곡재 중건상량문, 축문으로 당곡축담시 개토축문(唐谷築坍時開土祝文), 당곡축담후 고유축문, 당곡담 영행축문, 여곡재중건 토신제축문, 착정(鑿井)토지지신축문이 있다.

금화유고, 학술조사와 국역주석 등

문림의향의 중요 자산으로 공유화되어야

그리고 자명보축사(字明甫祝辭[金東煥]), 당곡축담 유림장(唐谷築坍儒林狀). 열부 남평문씨 유림장, 효열부 한양조씨 유림장, 효열부 영광김씨 유림장, 열부 문씨변(辨), 열부 선씨전(傳), 김공효행록발(跋), 서진주정씨열효장초후(書晉州鄭氏烈孝狀草後), 제전운옥편편수(題全韻玉篇篇首), 제등서동래박의편수(題謄書東萊博議篇首), 제김추사필첩후(題金秋史筆帖後), 제오천재장서원시도기(題烏川齋將祀員時到記)가 실려 있다.

이어서 다른 문사들이 금화 이성호에게 주는 시(운곡 조동승, 와운 이주석, 관해 김경귀, 성암 조우식)와 금화기(위혁기), 문계태의 시, 임호당 이병원의 금화처사기 등이 실려 있다.

이성호의 금화유고는 장흥은 물론 동복 등 다른 지역의 자연경관과 풍물, 세시절기, 생활사 공간, 문화유산 등을 읊은 시가 많고 교류한 문인들도 20여명 이상을 시제로 다루고 있고, 서간문이나 기문 등을 통해서 근대기 장흥지역의 인문학적인 배경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문림의향 장흥의 귀중한 자산이다. 금화유고의 자세한 해제, 영인본의 발간과 보급, 국역 주석서의 발간, 학술 자료조사와 공유화 등이 이어졌으면 하는 바람을 적어 본다. 자료조사와 정리에 도움말을 해준 아양 이병혁님과 소중한 자료를 소장하고 제공해 준 외우 이영돈님께 감사드린다.

 

 

 

 

 

 


  • 전남 장흥군 장흥읍 동교3길 11-8. 1층
  • 대표전화 : 061-864-4200
  • 팩스 : 061-863-4900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선욱
  • 법인명 : 주식회사 장흥투데이 혹은 (주)장흥투데이
  • 제호 : 장흥투데이
  • 등록번호 : 전남 다 00388
  • 등록일 : 2018-03-06
  • 발행일 : 2018-03-06
  • 발행인 : 임형기
  • 편집인 : 김선욱
  • 계좌번호 (농협) 301-0229-5455—61(주식회사 장흥투데이)
  • 장흥투데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장흥투데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jhtoday7@naver.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