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고/古書硏究會 세미나 - 고서(古書) 관련 한시(漢詩) 소고(小考)
■특별기고/古書硏究會 세미나 - 고서(古書) 관련 한시(漢詩) 소고(小考)
  • 장흥투데이
  • 승인 2024.01.10 14: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세규(李世圭)/고서연구회 감사, 詩人, 漢詩人
이세규(李世圭)/고서연구회 감사, 詩人, 漢詩人

 

 

 

 

 

 

 

 

▲한시(漢詩) 도해
▲한시(漢詩) 도해

 

 

 

 

 

 

■이 글은 지난 2023년 12월 16일, 오후 3시 서울 인사동 무수 아카데미 8층에서 한국고서연구회 주최로 개최돤 학술 세미나에서 이세규 고서연구회 감사가 벌표한 논고를 약술한 것으로 2회에 걸쳐 연재한다-편집자 주.

Ⅰ. 序

고서 자료를 살피며 관련 유물이나 유적을 답사하고 그 속에 나타난 사실과 느낌을 우리 선현들은 어떻게 표현했을까? 論(논)·辯(변)·說(설)·解(해)·頌(송)이나 그림 등도 있지만 간단한 방법으로는 漢詩(한시)라 할 수 있다. 漢詩를 내용에 따라 經史子集類(경사지집류)·文化遺産(문화유산)·遺蹟(유적) 편으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고서와 관련하여 題詠(제영)된 고서 자료를 살펴보니 주제 삼아 지어진 漢詩가 거의 없고 다소 지어진 漢詩라도 시어로만 쓰인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동양 고서 분류법은 다종다양하다. 주로 칠분법·사분법·개수 사분법·독자적전개법 등으로 대별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기존 동양의 고서 분류법을 참고한 뒤 나름대로 분류하여 고서 관련 漢詩를 소고 하여 보았다. 인용된 한시 원문은 주로 한국고전번역원 DB를 참고·활용하였다.

經史子集類(경사자집류)관련 편에서 經部(경부)로는 사서오경을 비롯하여 십삼경·불경류·사상 철학서, 서당이나 성균관의 주요 교재 등을 살폈다. 史部(사부)에서는 桓檀古記(환단고기)로부터 한국·중국·일본의 역사서 나 지리지·지도·교훈서·통치 관련 서적·비문 등을 살폈다. 子部(자부)에서는 諸子百家(제자백가)의 경전, 신문·잡지 및 사부류에 속하지 않는 것을 살폈는데 유가와 불가의 경전은 經部(경부)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集部(집부)에서는 문집과 시집인데 孔門十哲(공문십철)의 문집, 한국에서는 東國十八賢(동국십팔현)의 문집, 麗韓十家(여한십가)의 문집, 중국·한국의 주요 문장가의 문집을 살폈다.

文化遺産(문화유산, cultural heritage) 관련 편에서는 고서 중에서 후대에 계승·상속될 만한 가치를 지닌 전대의 문화적 소산을 바탕으로 고서와 관련된 용어를 비롯하여 고서나 문학 관련 총서, 화도·서예· 의학·문학 작품 등을 주로 살폈다.

遺蹟(유적) 관련 편에서는 학문 연구기관·교육기관 및 도서를 관리했던 관청·서원·궁궐·사찰이나 고서와 연관된 유적지의 題詠(제영) 한시를 살폈다. 위와 같은 범주에서 고서 관련 한시를 고찰하여 그중 일부를 선별한 다음 종류별로 묶어 보았다. 동양의 전통적인 고서 분류서인 《七略,칠략》·《隨書,수서》經籍志(경적지)·《四庫全書,사고전서)》와 현대 도서십진분류법 등을 참고한 뒤 이해를 돕기 위해 편의상 분류 편집하였음을 일러둔다.

Ⅱ. 경사자집류 한시

經史子集類(경사자집류)에서는 經書(경서)·史書(사서)·諸子(제자)·文集(문집)과 관련하여 經書類(경서류)로는 《小學,소학》·《論語,논어》·《맹자,맹자》·《中庸,중용》·《大學,대학》·《詩經,시경》·《書經,서경》·《易經,역경》·《春秋,춘추》·《禮記,예기》·《佛經,불경》·《父母恩重經,부모은중경》을, 史書類(사서류)로는 《高麗史,고려사》·《史記,사기》·《漢書,한서》·《後漢書,후한서》·《東國史略,동국사략》·《三國志,삼국지》를, 諸子類(제자류)로는 《道德經,도덕경》·《莊子,장자》·《荀子,순자》등을, 文集類(문집류)로는 東國十八賢(동국십팔현)의 문집 등을 소재로 한 31편의 한시를 살펴본다.

1) 讀《小學》-《소학》을 읽고서

小學書中至味存 《소학》 책 속에 지극한 맛이 있나니

曉窓徐誦到黃昏 새 벽 창가 독송하다 황혼에 이른다.

非高非遠皆吾事 고상하고 머나먼 일도 아닌 모두 나의 일

能信能行不必言 자신감에 행할 만하다고 말할 필요 없지.

且莫拋珠空買櫝 구슬 버리고도 빈 상자 사는 일 없어야지

須知食實在培根 열매 먹으려면 뿌리 배양함을 알아야 해.

何人錯怕摧頹甚 누구든 그릇되게 심한 퇴폐를 두려워하고

一敬優除百病源 한번 공경하면 충분히 만병 근원 없애리라.

《滄溪集》 제1권 詩.

2) 讀《大學》-《대학》을 읽고서

讀罷曾書夜已窮 대학을 다 읽고 나니 밤이 이미 깊어

殘燈明滅影搖紅 등잔불은 깜박깜박 그림자가 흔들린다.

三更色動千山月 야밤 삼경에 산에 비친 달빛 움직이고

萬木聲傳一壑風 온갖 나무 소리에 한 골짝은 바람이네.

世上浮名渾似夢 속절없는 세상 명예 완전히 꿈과 같고

箇中眞味孰能通 이 속의 진미는 누가 능히 통하리오?

勸君更討危微義 그대 또 위태하고 미묘한 뜻 찾아보아

意到誠時覺有功 뜻이 정성스러울 때 공로를 터득했네.

《順菴集》卷之一 / 詩

3) 讀《詩》-《시경》을 읽고서

豳自風爲雅 빈풍은 풍으로부터 아가 되었고

王由雅列風 왕풍은 아로부터 풍이 되었도다.

人心自今古 인심은 지금이나 예나 같겠지만

世道有汙隆 세도는 쇠하고 융성함이 있다네.

草木皆蒙化 초목들도 모두가 교화를 입었고

鳶魚亦降衷 연어들 또한 천성을 타고났다.

思無邪一句 생각에 사특함 없다는 한 글귀여

誰識素王功 그 누가 공자의 공을 알겠는가?

《牧隱詩藁》卷之七 / 詩

4) 《禮記》-《예기》

記禮漢君子 예를 기록한 한나라 군자여

何多渾眞贋 흐린 참과 거짓 어찌 많지.

可惜聖人經 애석하다! 성인의 경전이여

無從更考按 다시는 고찰할 길이 없다네.

《藥圃先生續集》卷之一 / 詩

5) 讀《道德經》-《도덕경》을 읽고서

讀盡希言八十章 팔십 장의 희언을 모두 읽었더니

世緣消處倂形忘 세상 인연 사라지자 몸까지 잊었지.

沖然頓覺超無象 온화하게 깨달아 무상을 초월하여

從此何憂舌本强 혀끝이 굳더라도 이제는 걱정 없네.

《象村稿》卷之二十 / 七言絶句

6) 夜讀《高麗史》有感-밤에 《고려사》를 읽은 느낌

秋露滿庭秋月明 가을 이슬 찬 정원 가을 달 밝으니

幽人夜讀高麗史 은둔한 사람이 고려사를 밤에 읽네.

空階百蟲亦多情 쓸쓸한 층계 벌레들도 정이 많은데

向我爭鳴悲不已 나를 향해 우니 슬프기 끝이 없네.

《武陵雜稿卷》之一○原集 / 詩 Ⓢ

7) 讀《漢書》-《한서》를 읽고서

數莖霜鬢不須除 무성한 흰 귀밑털 없애지 못하고

糲飯藜羹一飽餘 거친 밥과 나물국 먹어도 남구나.

誰與共談天下事 누구와 천하의 일을 함께 말하리

半窓暄晷讀殘書 반쪽 창 햇빛에 남은 책 읽노라.

《浣巖集》卷之三 昌寧鄭來僑潤卿著 / 詩//Ⓢ

<다음 호에 계속>

---------------------------------------------------------------------------------------------------------------------------------------------------

1) 經史子集類: 동양의 전통의 도서 분류법. 중국 東晉元帝 李充이 책을 경···집으로 분류를 시작하였고, 뒤에 隨書經籍志에서 경···집의 4분류법을 사용하면서 오늘날의 체제가 확립됨. 經部에는 사서오경을 비롯한 유교경전·주석서·연구서, 史部에는 역사책·비문·銘文 등의 금석문, 전기문, 왕이나 天子詔勅·上疏文, 문물 제도와 전례·외교·통상·교통·통신·선거·교육 및 관청의 각종 문서, 子部에는 儒家·道家·佛家·縱橫家諸子百家의 책과 四部에 해당 않는 주제들을, 集部에는 개인의 문집들이 포함된다.

2) 七略:前漢劉向의 별록에 따라 아들 흠()이 지은 書籍 分類 目錄. 輯略·六藝略·諸子略·詩賦略·兵書略·術數略·方技略으로 분류하였다.

3) 隨書》〈經籍志:隋書十志의 하나. ···4부와 道經佛敎書籍으로 大別하여 총 47류로 분류함. 長孫無忌 등이 편집한 五代史志의 일부와 魏徵 등의 隋書와 합본 됨.

4) 四庫全書:(10(15(14(5) 4부로 총 44류로 분류함.

5) 맨 뒤의 참고자료1-검토 한시 현황. 참고자료2-본문 한시 게재 현황 참조

6) 東國十八賢文集 中退溪集·栗谷集·晦齋集·靜菴集·河西集·重峰集·宋子大全에 관한 漢詩.

7) 근본은 모르고 지말(枝末)만 좇는 행위를 뜻하는 매독환주(買櫝還珠)’의 고사. 춘추 시대 초()나라 사람이 향기를 쐰 목란(木蘭)으로 상자를 만들고 옥으로 장식을 한 다음 구슬을 담아 정() 나라에 가서 팔았는데, 상자만 사고 구슬은 돌려주었다고 한다. 韓非子 外儲

8) 《滄溪集: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임영(林泳, 1649~1696. 羅州人)의 시문집. 2713. 1708년 간행.

9) 順菴先生文集:조선 후기의 실학자 안정복(安鼎福,17121791.廣州人)의 유고(遺稿)를 모은 전집. 목활자본. 2715. 1900년 간행.

10) 빈풍(豳風):시경(詩經)國風에 있는 篇名으로 七月篇周公攝政(섭정)을 그만두고 나이가 어리고 경험이 부족한 成王을 경계시킨 것으로 백성들의 농사짓는 어려움을 인식시키기 위하여 지음.

11) 鳶魚:詩云, 鳶飛戾天, 魚躍于淵, 言其上下察也 [中庸章句12]

12) 牧隱詩藁: 高麗末 牧隱 이색(李穡,1328~1396,韓山人)詩文集.

13) 藥圃先生續集:약포(藥圃)정탁(鄭琢,15261605.淸州人)詩文集. 42, 1818년 간행.

14) 希言:希言自然-들리지 않게 말함이 자연스럽다[老子 道德經 第14]

15) 象村稿:신흠(申欽, 1566-1628, 平山人)詩文集. 6222.

16) 武陵雜稿卷:주세붕(周世鵬,1499~1554,尙州人)詩文集. 1581년 간행.

17) 浣巖集:정래교(鄭來僑, 1681~1757, 昌寧人)의 시문집(詩文集). 42, 목판본과 필사본이 있는데 木版本1765년 간행.

 

 


  • 전남 장흥군 장흥읍 동교3길 11-8. 1층
  • 대표전화 : 061-864-4200
  • 팩스 : 061-863-4900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선욱
  • 법인명 : 주식회사 장흥투데이 혹은 (주)장흥투데이
  • 제호 : 장흥투데이
  • 등록번호 : 전남 다 00388
  • 등록일 : 2018-03-06
  • 발행일 : 2018-03-06
  • 발행인 : 임형기
  • 편집인 : 김선욱
  • 계좌번호 (농협) 301-0229-5455—61(주식회사 장흥투데이)
  • 장흥투데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장흥투데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jhtoday7@naver.com
ND소프트